, 마이크로소프트 Bing , 한국형 AI 뤼튼을 소개합니다. (5월4일기준)

Bing과 뤼튼

마이크로소프트 Bing , 한국형 AI 뤼튼을 소개합니다. (5월4일기준)

듀클레어 2023. 5. 4. 10:09

마이크로소프트의  Bing과 한국형

AI의 뤼튼을 같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gpt만으로는 성에 안 차셨던 분들 이제 AI의 장단점을 파악해서 각각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검색이 나왔네요 얏호! 새로운 기술이 쏟아질수록 더 다양한 AI가 나올수록 즐겁네요~~

먼저 BING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이크로엣지에서만 됩니다. 오페라, 네이버웨일,크롬에서는 채팅창이 뜨지 않아요 

bing을 검색하면 상단에 채팅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클릭하심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https://www.bing.com/

 

Info

The Maasai Mara houses a variety of wildlife, incl

www.bing.com

채팅을 클릭! 하면

대화스타일을 선택하여 정보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5월2일에 업뎃된 뤼튼입니다.

뤼튼 (wrtn.ai)

 

wrtn

고객의 반응을 얻고 매출을 늘리는 경쟁력 있는 카피, 강력한 AI와 함께 10배 빠르게 완성하세요.

wrtn.ai

 

뤼튼의 최대 장점은 한국형 AI 에다가 

여러 글별 툴이 있다는 것이죠 

최대 단점은 속도가 느립니다.

 

간단히 AI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비교적 최신 단어인 디깅 모멘텀에 대해 물어볼거에요 

디깅모멘텀 (Digging Momentum) 이란?

정답부터 얘기하자면 '디깅'이란 원래 음악쪽에서 자주 쓰던 용어로  

떄로는 옛날 다방에서 때로는 LP판에서 또 때로는 클럽 DJ에게서

보물찾기를 하듯 개인의 취향에 꼭 맞춘 음악을 찾기 위해 

디깅이란 말 뜻 그대로 파들어간 용어를 지칭하는데요 

이제는 소수의 이야기가 아니라 취미 전 영역에서

자신만의 취향대로 파들어가는 이들을 디깅러들이라고 합니다.

디깅 모멘텀이란 한마디로 디깅러들이 파들어가는 모든 활동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겠네요 

최신 경향인 디깅 모멘텀을 AI들에게 물어봤습니다.

1. 먼저 GPT에는 2019년 정보라 정보가 없습니다.

최신동향을 알기에는 GPT는 무리~

 

2. Bing에게 물어보니 

첨부 사이트와 함께 깔끔하게 알려주네요 

최신 동향 검색 합격입니다.

 

3. 다음으로 뤼튼

 

아직 학습이 부족한네요 틀린 답을 알려줍니다.

학습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최신 정보의 경우 bing같은 경우는 이렇게

질문도 지정해줘서

프롬프트 고민이 조금 줄어들 것 같습니다 . 

 

소소하게 비교해본 결과로는

GPT -  IT계열 , 코딩, 기타 등등 수학적인 부분 강함, 영어질문에 강함 , 거짓 정보를 주는 빈도수가 줄었음

Bing - 답변 짧음, 출처가 분명한 답을 줌, 한국어 질문에도 꽤 답변을 잘해줌

뤼튼 - 툴을 사용가능하지만 실제 컨텐츠에 연결시키기에는 아직은 무리

리소스가 부족하여 답변 약간 분야가 있음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